이번 현장은 제천시 봉양읍 미당리에 위치한 개인주택 신축현장입니다. 샌드위치 패널로 골조와 지붕을 구성한 단층 건물로서 지붕의 모양은 변형된 T자 구조입니다.

 

최초 방문시의 모습입니다. 외벽에 치장벽돌을 쌓고 있는 모습이 보이네요. 지붕은 아직 마감이 안 된 상태입니다. 방수시트도 부착되어 있지 않고 슬라브 옆면의 후레싱도 마무리되어 있지 않는 모습입니다.

 

붉은 원 안을 보시면 경량철골의 앵글이 처마 바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보입니다. 대부분의 일반적인 샌드위치 패널 주택은 이 철골을 건물 안쪽에서 절단하기 때문에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는데 이번 주택은 특이하게 바깥으로 노출되어 있네요. 이런 경우에는 이 철골이 처마를 받쳐주는 효과가 있으므로 지붕의 하중 분산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노출된 철골을 타고 냉기가 집 안으로 유입될 수도 있고, 지붕과 벽체의 접합 부분도 앵글 노출을 위해 절개를 해 놓았기 때문에 이 부분의 단열이 잘 유지되도록 우레탄폼 등으로 기밀을 잘 유지해야 결로 발생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지붕 위의 모습입니다. 맞배지붕이 방향을 달리해서 붙어 있는 변형된 T자 형태의 지붕인데 특이하게도 지붕면의 경사도가 양 지붕이 각각 다릅니다. 큰 면적의 지붕은 완만한 경사인 반면, 작은 지붕은 경사도가 상당히 높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경사도가 다른 경우에는 지붕이 만나는 교차점인 물골 부분의 시공이 좀 까다롭게 됩니다. 그 이유는 차후에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두 번째 방문했을 때의 사진입니다. 외벽의 벽돌은 조적이 모두 끝난 상태이며 지붕의 슬라브 역시 후레싱으로 마감이 되어 있습니다.

 

지붕의 교차점 부분, 즉 기와골이 끝나는 부분의 모습입니다. 사진에서 보이듯 같은 높이에서 끝나지 않고 약간의 단차가 있습니다. 반대편 쪽의 지붕도 이와 비슷한 형태인데요, 이렇게 지붕이 같은 높이로 마감되지 않는 경우에는 후레싱 처리 및 빗물 유도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게 됩니다. 역시 자세한 이유는 차후에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세 번째로 방문했을 당시의 모습입니다. 외벽 벽돌에 줄눈을 넣는 작업이 한창 진행 중에 있습니다. 줄눈이 시공된 부분과 아직 시공되지 않은 부분의 차이가 눈에 확 띄네요. 마당에는 황토 벽돌 팔레트가 쌓여 있는 것이 보이네요. 특별한 인테리어 없이 집 안의 내벽을 황토 벽돌을 쌓아 마감한다고 합니다.

 

경사도가 높은 작은 지붕 쪽 외벽의 모습입니다. 높은 경사도로 인해 현 상태로는 지붕 작업이 매우 위험할 것으로 판단되어 이곳에 비계를 추가로 설치해 발판을 한 단 더 놓기 위해 현장을 찾았는데, 아무래도 줄눈 작업이 끝난 후로 작업을 미뤄야 할 것 같습니다.

 

슬라브 옆면과 밑면 마감이 마치 징크 마감과 비슷하게 시공이 되어 있습니다. 외벽 바깥으로 돌출되어 있던 철골 앵글의 두께까지 고려하다 보니 일반적인 지붕보다 상당히 두껍게 마감된 것이 눈에 띄네요. 밑면 마감도 보통의 흰색 PVC 소핏 벤트를 사용한 것이 아니라 징크처럼 마감해서 한결 고급스러워 보입니다.

 

지붕면이 같은 높이로 마감되지 않고 단차가 있는 경우에 후레싱 설치 및 빗물 유도에 어려움이 있다고 아까 위에서 언급했었는데요, 그 이유를 설명해 줄 수 있는 사진입니다. 사진의 붉은 표시가 바로 후레싱이 설치될 예상 경로인데요, 화살표와 같이 아래쪽에서 급격하게 빗물의 뱡향이 꺾이게 되기 때문에 자칫하면 노란 타원형 부분에서 빗물이 넘치게 됩니다. 만약 같은 높이에서 지붕이 마감되었다면 물골의 방향이 꺾이는 일 없이 일직선으로 내려오기 때문에 이런 누수의 위험이 전혀 없겠죠.

 

다음날 외벽의 줄눈 작업이 끝나고 드디어 기와 시공에 들어간 첫날입니다. 안전한 시공을 위해 경사면이 높은 지붕 쪽에 비계를 덧달아 발판을 하나 더 추가하는 작업을 진행 중인 모습입니다.

 

사전에 시공사 측에서 비계 작업을 해 놓았더라면 시간이 많이 단축되었을 텐데, 기와 시공에 앞서 선행되어야 할 작업이 많습니다.

 

비계 보강 작업이 끝났습니다. 사진의 붉은 타원 안에 보이듯 지붕이 끝나는 바로 밑에 비계 발판을 설치하였으므로 혹시 모를 안전사고의 위험 부담 없이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겠네요.

 

방수시트를 붙이기 위해 지붕면에 달라붙은 먼지를 닦고 있습니다. 원래는 패널 팀에서 지붕 골조를 마치자마자 붙여 놓는 것이 보통인데, 이번 경우에는 작업을 마무리하지 않고 바로 철수를 한 상태라 기와 시공팀에서 방수시트를 붙여야 합니다. 지붕면에 쌓인 먼지로 인해 무척 미끄러우므로 이렇게 청소를 끝내놓고 붙여야 안전합니다.

 

방수시트 부착 작업이 모두 끝났습니다. 이제 각상 작업을 할 차례입니다.

 

세로상 작업이 끝났네요. 이 각도에서 보니 지붕 경사가 무척 높다는 것이 느껴지네요.

 

세로상에 이어 가로상 작업이 끝나고 새막이까지 부착해 놓은 모습이 보이네요.

 

기와골에는 빗물을 유도할 밸리 후레싱을 부착합니다. 아까 위에서 설명할 때, 지붕이 만나는 교차점의 경사도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물골 부분의 시공이 까다롭다고 했는데, 그 이유가 바로 위 사진으로 알 수 있습니다. 사진의 화살표에서 보이듯 한 쪽의 경사도가 다른 쪽의 경사도에 비해서 훨씬 높은 경우에는 빗물이 가속도에 의해 자칫하면 후레싱의 물턱을 넘어서 반대편의 지붕 쪽으로 흘러 넘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적당한 강우량이라면 거의 그럴 일이 없겠지만 집중 호우와 같이 단시간에 비가 많이 퍼붓는 경우에는 충분히 넘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의 지붕에는 후레싱 한쪽에 방지턱을 만들어 주어야 안전합니다.

 

현관 쪽 기와골 배수부의 급격하게 꺾이는 부분 역시 위 사진과 같이 빗물이 넘치지 않도록 방지턱을 만들어 붙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사전 작업을 해 놓아야 빗물이 넘치지 않고 안전하게 배수됩니다.

 

후면 쪽의 배수 부분도 위 사진과 같이 후레싱을 설치합니다. 이번 현장에는 물받이를 설치하지 않고 자연 배수를 하는 방식으로서 위 상태가 마감입니다. 이제 기와를 받을 준비가 모두 끝났습니다.

 

조심조심 기와 팔레트를 받아 지붕 위에 고루 펼쳐 놓습니다. 이번에 사용되는 기와는 마자론 사의 신제품인 코르텐(Corten)이라는 색상의 기와입니다.

 

따로 물받이를 하지 않기 때문에 끝기와가 단단히 부착되도록 클립으로 일일이 고정합니다. 이렇게 마감해 놓아야 강풍에도 기와가 들뜨는 일 없이 단단하게 고정됩니다.

 

기와골이 급격하게 꺾이는 부분은 위와 같이 물길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기와를 컷팅하여 설치해 나갑니다.

 

경사도가 높은 지붕은 기와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못과 실리콘을 충분히 사용하여 기와를 단단하게 고정합니다.

 

집 내부에도 황토벽돌 조적 작업이 한창입니다.

 

지붕 경사 차이로 인한 빗물 넘침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턱을 설치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경사도가 높은 작은 지붕은 작업이 상당 부분 진척이 된 모습이네요. 아직 완성되지는 않았지만 기와의 색상과 외벽의 색상이 잘 어울려 보입니다.

 

경사도가 낮은 큰 지붕 쪽의 작업도 착착 진행 중입니다. 기와의 색상이 아주 예쁘네요.

 

후면 쪽의 기와골 부분의 마감 부분은 방수를 위해 실리콘과 전용 벤트를 사용하여 단단히 마감합니다.

 

용마루 벤트로 밑작업을 하고 용마루 기와를 덮고 있습니다.

 

집 안의 황토 벽돌 조적도 많이 진척이 되었네요.

 

드디어 모든 작업을 끝내고 기와 위에 쌓인 먼지와 부스러기 등을 청소기로 불어내고 있습니다.

 

모든 과정이 마무리된 후의 모습입니다. 붉은 벽돌과 기와의 색상이 무척이나 조화롭게 잘 어울리는 예쁜 주택이 탄생했네요. 경사도가 높아 애를 먹기는 했지만 완성 후의 근사한 모습에 절로 피로가 풀리는 느낌입니다. 이 지역이 비행 금지 구역이라 드론 촬영이 불가능하여 상공에서의 모습을 담지 못한 점이 무척 아쉬움으로 남는 순간이네요.

이번 현장에 사용된 기와는 마자론 기와의 코르텐이라는 제품입니다. 붉은색과 황토색 위주의 전형적인 유럽 스타일의 기와로서 따뜻하면서도 화려한 느낌이 특징인 고급 기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