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현장은 강원도 정선읍 가수리에 위치한 개인주택 신축현장입니다. 샌드위치 패널로 골조와 지붕을 구성한 단층주택으로서 지붕의 모양은 변형된 T자 형태의 구조입니다.

 

실측을 위해 최초 방문했을 당시의 모습입니다. 골조와 지붕만 마감된 상태라 아직 외벽에는 샌드위치 패널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고, 지붕에는 방수시트만 덮여 있는 상태입니다. 그런데 사진의 붉은 원처럼 현관 출입구 부분이 좀 이상합니다. 현관용 지붕의 높이가 본채 지붕의 높이와 단차가 없이 거의 같은 높이로 시공하다 보니 사진과 같이 경사도가 무척 낮은 이상한 모양이 되어 버렸습니다.

 

하늘에서 본 각도로 살펴보겠습니다. 위 사진에서 파란색으로 표시한 지붕이 바로 현관용 지붕입니다. 사진에서 볼 수 있듯 경사각이 별로 없는 매우 밋밋한 현관 지붕임을 알 수 있습니다. 더구나 기와골에서 내려오는 빗물이 배수되는 말단 부분이라 원활한 배수 설계 또한 어렵습니다. 잠시 고민한 결과, 현관 지붕은 기와 시공에 앞서 시공사 측에서 미리 징크로 시공을 해 놓는 것으로 의견 조율을 마칩니다.

 

내부에는 이미 인테리어가 시작되고 있습니다. 거실의 천장 부근에 목작업이 한창 진행 중이네요.

 

전체적인 지붕의 모양입니다. 현관 부분의 추가 지붕만 아니면 그다지 난이도가 큰 지붕은 아니라고 판단되네요. 마당에는 외벽 마감을 위한 벽돌 팔레트가 놓여 있는 것이 보입니다.

 

며칠의 시간이 흐르고 현관 징크 시공이 끝났다는 연락을 받고 현장을 다시 찾았습니다. 외벽에는 벽돌 조적 및 줄눈 작업까지 모두 끝마쳐진 상태네요.

 

내부에는 석고보드가 몇 장 붙여진 것을 제외하고는 아직 큰 변화가 없어 보입니다.

 

일단 세로상부터 작업을 시작합니다.

 

문제가 되었던 현관 지붕에는 징크로 시공이 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그런데 기와로 덮일 곳까지 좀 넉넉하게 겹쳐서 징크 철판을 덮어야 하는데 징크 시공이 좀 짧게 시공되어 있습니다. 자칫 기와골의 빗물이 지붕면 안쪽으로 흐를 위험이 있으므로 사진과 같이 철판을 덧대어 줍니다.

 

따로 철판을 준비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샌드위치 패널 철판을 이용해 추가로 접합한 후, 실리콘과 알루미늄 벤트로 경계면을 꼼꼼하게 방수처리합니다. 이제 기와골에서 배수된 물이 철판을 따라 원활하게 배수될 것입니다.

 

바로 옆에는 마을회관 건물이 있습니다. 붉은색 오지기와로 시공한 지붕인데 지붕면이나 용마루의 수평 상태가 많이 뒤틀리고 구불구불한 것으로 보아, 별도의 각상 작업을 하지 않고 시멘트 몰탈을 이용해 습식 시공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한옥 지붕과 같이 곡선미가 강조되는 지붕은 점토나 시멘트를 이용한 습식 시공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서양식 주택의 경우에는 지붕의 내구성 및 반듯하고 깔끔한 외관을 위해서는 습식 시공보다는 건식 시공이 좋습니다.

 

세로상에 이어 가로상까지 작업이 착착 진행됩니다. 샌드위치 패널 지붕은 별도의 수평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작업이 수월하게 진행됩니다.

 

기와골의 밸리 후레싱도 작업이 끝났습니다. 현관 지붕으로 배수되는 말단 부분은 위 사진과 같이 마감되었습니다.

 

각상 작업이 모두 끝났습니다. 이제 기와를 받을 차례입니다.

 

기와 인양이 시작됩니다. 샌드위치 패널 지붕은 아무래도 집중 하중에 취약하므로 인양 전에 트러스의 위치 파악 및 보강 작업을 해 놓아야 안전하게 기와를 받을 수 있습니다.

 

기와 인양이 무사히 끝났습니다. 이번에 사용되는 기와는 스페인 마자론 기와의 검정 색상 기와입니다.

 

기와 시공에 앞서 새막이도 설치해 줍니다. 각상에는 기와를 놓을 자리를 먹선으로 표시한 것이 보이네요.

 

현관 징크 지붕의 빗물이 물받이 속으로 안전하게 배수되도록 물받이 인코너 부분에 후레싱을 이용해 유도로를 시공한 모습입니다.

 

기와골에 모여 흐르는 빗물은 위 사진의 경로처럼 배수가 이루어집니다. 패트병으로 물을 부어 테스트 후, 안전하게 배수가 되는 것까지 확인합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기와 시공에 들어갑니다. 갓기와 및 끝기와부터 차근차근 기와를 입혀나갑니다.

 

기와골 부분은 구불구불하지 않게 최대한 정밀하게 컷팅하여 기와를 입혀나갑니다.

 

용마루 쪽 마감 기와는 컷팅기를 이용하여 기와를 절단하여 줍니다.

 

지붕 후면부는 기와 시공이 거의 마무리에 접어들었습니다.

 

건물 뒷편의 언덕 위에서 바라본 지붕 후면부의 모습입니다. 용마루를 제외하고는 기와 시공이 거의 끝났네요. 이제 현관이 위치한 전면부의 지붕을 시공할 차례입니다.

 

지붕 전면부는 아무래도 현관 지붕 때문에 시공이 까다로운 편입니다. 징크 지붕과 최대한 자연스럽게 기와가 연결될 수 있도록 시공하는 것이 관건이라 할 수 있겠네요.

 

드디어 징크와 기와가 만나는 부분에 시공이 시작되었습니다. 지붕 하부에 덧댄 철판과 알루미늄 벤트를 덮은 면이 햇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사진의 붉은 원에서 보이듯 바닥 기와를 절반 정도 절단해서 완전히 덮어 줍니다.

 

본채 지붕과 징크 지붕의 미세한 단차로 인해 사진처럼 기와면에 약간의 각도 차이가 발생합니다. 이 부분은 최대한 자연스럽게 마감되도록 기와를 가공해서 각도를 줄여줍니다. 또한 접합부의 빗물 배수를 위해서 사전에 유도 후레싱도 심어 놓아야 합니다. 사진의 붉은 원안을 자세히 보면 기와 하단부에 유도 후레싱이 시공되어 있는 것이 보입니다.

 

기와골을 경계로 왼쪽 지붕 마감부는 징크와 만나는 부분에 기와를 절반 정도 절단하여 덮어주었지만, 오른쪽 마감부는 기와를 절단할 때 기와 한장 한장마다 약간 비스듬하게 각도를 주면서 절단해 나갑니다. 그래야만 징크 지붕의 라인과 같은 간격을 유지하며 예쁘게 시공이 마무리됩니다.

 

징크 철판과 기와 접합부가 예쁘게 마감되었습니다.

 

드디어 기와 시공이 모두 마무리되었습니다. 현관 지붕 때문에 고민도 많았고 손도 많이 갔지만 예쁘고 깔끔하게 마무리되어서 무척 만족스럽습니다.

 

하늘에서 바라본 모습도 아주 근사합니다. 검정 단색의 기와가 깔끔하고 세련된 느낌을 주네요. 아직 먼지와 발자국으로 인해 지붕에 군데군데 얼룩이 보이지만 비를 몇 번 맞으면 원래의 색상을 찾게 될 것입니다.

이번 현장에 사용된 기와는 마자론 기와의 검정색 기와로서 일반 붉은 점토기와에 검정 도료를 칠한 것이 아니라 밤색 기와를 베이스로 컬러를 입힌 기와입니다. 따라서 단색 기와이지만 가장 고급 기와에 속하며 가격 또한 일반 변색 기와보다도 높습니다. 무광택으로 처리된 기와의 표면은 중후하고 깊이 있는 느낌을 주어 한식 스타일의 집이나 현대적인 건축물 모두에 무척 잘 어울리며 벽체 색깔에도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아 다양한 스타일의 외벽에 폭넓게 어울리는 장점이 있습니다.

제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 마자론 블랙 제품 안내 바로가기 >>

 

아래의 VR 촬영 사진도 감상하세요. 각상 및 완성 후 등 각 단계별 장면을 VR로 촬영한 사진입니다. 사진은 한 장처럼 보이지만 들어가 보시면 각각의 상황에 따라 볼 수 있도록 팝업 메뉴로 링크를 구분해 놓았습니다. 시공 전, 각상작업 후, 완성 후의 사진들까지 도합 다섯 장의 VR 사진을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