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현장은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에 위치한 개인주택의 지붕 재시공 현장입니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단층 건물로서 현재 지붕면은 슁글로 덮여져 있는 상태인데 이번에 기와로 새단장을 하게 되었습니다. 슁글 지붕을 기와로 재시공할 경우에는 굳이 슁글을 걷어내지 않고도 바로 슁글 위에 각상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지붕은 ㄱ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데 갓기와 없이 용마루로 지붕면이 마감되는 모임지붕의 형태입니다. 모임지붕은 박공식 ㄱ자 지붕과 비교해서 기와를 절단하는 면이 많기 때문에 시공이 간단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시공 난이도를 높이는 원인은 지붕 모양뿐 아니라 여러 가지 요소들이 더 있는데요, 지붕을 한 바퀴 빙 돌아가면서 짚어보기로 하겠습니다.

 

먼저 짚어볼 것은 용마루의 생김새입니다. 지붕면과 지붕면을 구분하는 용마루가 마치 한옥 지붕의 용마루처럼 사진의 붉은 원 부분을 경계로 처마 부근 약 1미터 정도에서 약간 위를 향하여 꺾여 있습니다. (좀 더 정확한 용어로는 ‘추녀마루’이지만 편의상 용마루로 통일하여 부르겠습니다). 이로 인해 위 사진의 파란 색으로 표시한 부분에서 볼 수 있듯 지붕 경사면이 살짝 들려서 경계면이 뚜렷하게 생겼습니다. 한옥 기와로 시공한다면 지금 모양 그대로 시공해도 큰 문제가 없겠지만, 수입기와로 시공한다면 얘기가 달라집니다. 곡선미를 강조한 한옥과 달리 수입기와는 유럽식 지붕에 맞게 가공되어 지붕면이 직선일 때 가장 아름답기 때문입니다. 이 부분은 시공 과정에서 각재를 이용해 바로잡아야 하므로 난이도가 점점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시공의 난이도를 한층 더 끌어올리는 요소는 바로 이 까치지붕들입니다. 채광 용도가 아닌 완전 장식용 지붕창이기 때문에 이참에 철거하면 좋겠지만 콘크리트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모양을 유지한 채 시공해야 합니다. 한두 개도 아닌 네 개나 존재하므로 가뜩이나 높은 난이도가 훨씬 더 높아졌네요.

 

건물 뒷편으로 돌아가 살펴볼까요. 건물 뒷편 중앙에는 지하실로 통하는 계단실 옥상이 평슬라브로 낮게 설치되어 있습니다. 언뜻 보면 마치 장독대처럼 생겼는데요, 이곳 바닥이 노후화로 인해 방수가 제대로 되지 않아 비가 오면 빗물이 지하실로 흐르기 때문에 이참에 기와로 씌울 예정입니다.

 

드디어 시공 난이도를 최강으로 끌어올릴 주인공이 나타났습니다. 바로 이 굴뚝인데요, 까치지붕과의 거리가 너무 가까워 후레싱 처리 및 기와 설치가 매우 까다로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조금 더 각도를 틀어보니 외부에도 작은 건물이 하나 보입니다. 바로 실외 화장실인데요, 평슬라브로 지붕을 마감했지만 역시나 바닥 상태가 많이 노후되었기 때문에 이번 기회에 아예 기와로 덮을 예정입니다. 지하실 계단 옥상과 마찬가지로 지붕의 형태가 평슬라브이기 때문에 각상을 이용해 지붕의 모양을 새로 만들어서 작업해야 하므로 쉬운 작업은 아닙니다.

 

이상으로 지붕 상태 및 난이도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작업 공간이 본관과 부속 건물로 분산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시공 난이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시간과 노력이 상당히 많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건축주 분과 충분한 사전 조율을 거쳐 드디어 시공일이 다가와 현장을 다시 찾았습니다. 지붕 위에서 바라보니 용마루의 꺾임 상태가 하늘에서 바라보았을 때보다 훨씬 심하다는 것이 느껴지네요. 이 꺾인 부분을 일직선으로 바로잡아야 합니다.

 

각상을 이용해 용마루 기초상을 세운 모습입니다. 원래의 지붕면과 많이 떨어져 있어서 괴임목을 상당히 두껍게 받쳐 놓은 것을 볼 수 있네요.

 

전체 용마루 선을 위와 같은 방식으로 다시 바로잡아줍니다. 각상의 기초가 되는 가장 중요한 작업이므로 실을 띄워 정확한 일직선을 유지하도록 신경 써서 작업합니다.

 

까치지붕의 용마루도 수평계를 이용해 정확한 수평을 맞춰줍니다. 기존의 지붕은 수평이 많이 안 맞는 상태네요.

 

지상에서 보니 원래의 지붕면과 어느 정도 차이가 나는지 잘 느껴지네요.

 

이번 현장에는 물받이 거터 및 선홈통을 철거하지 않고 원 상태 그대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건축 당시에 고가의 비용을 들여 동(銅)으로 시공하였기도 하거니와 현 상태도 양호한 편이라서 굳이 철거 후 새로 시공할 이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로 인해 각상 작업은 좀 더 까다로워졌습니다. 위 사진에서 알 수 있듯 세로상이 처마 끝까지 뻗어 있지 않고 약 30센티 정도 뒤에서부터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물받이 높이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존 방식처럼 세로상을 시공하면 끝기와가 물받이보다 훨씬 위로 위치하게 되어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고 원활한 빗물 배수도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완성된 용마루 기초상을 중심으로 세로상들이 하나씩 붙어가고 있습니다.

 

까치지붕에도 각상 작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후레싱까지 염두에 두면서 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각상 작업이 매우 까다롭습니다.

 

세로상이 늘어갈 때마다 지붕의 모습이 점차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기와골의 각상 작업도 착착 진행됩니다. 밸리 후레싱이 부착될 자리가 보이네요.

 

용마루의 꺾인 상태를 보정하다 보니 지붕 하단부로 갈수록 각상이 원래의 지붕면에서 상당히 높이 떨어집니다. 세로상의 정확한 수평을 위해 실을 띄워 높이를 맞추고 있네요.

 

세로상 작업이 거의 마무리되었습니다. 세로상이 처지지 않도록 중간 중간 괴임목으로 고정하고 있는 모습이네요.

 

완성된 세로상 위에 가로상이 하나씩 붙여지고 있네요. 워낙에 손이 많이 가는 지붕이라 작업 속도는 더디지만 최대한 꼼꼼하게 작업합니다.

 

각상이 처지지 않도록 괴임목과 쐐기로 좀 더 촘촘하게 보강한 모습입니다.

 

까치지붕의 기와골마다 빗물을 유도할 후레싱이 하나씩 부착되고 있습니다. 후레싱을 붙일 곳이 제법 많아 시간이 많이 소요되네요.

 

굴뚝 주변에도 후레싱이 완성되었습니다. 까치지붕의 후레싱까지 겹쳐져서 상당히 복잡한 구조가 되었습니다.

 

본관 지붕의 각상 작업이 마무리된 후, 드디어 부속 건물의 각상 작업도 진행됩니다. 실외 화장실의 지붕은 맞배지붕 형태로 각상을 시공할 예정입니다. 먼저 슬라브 중심에 종도리 역할을 할 각재를 만들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 종도리를 중심으로 서까래 역할을 할 세로상 각재가 붙습니다.

 

서까래 역할의 세로상에 이어 가로상까지 시공이 되었네요. 하지만 아직 마무리할 과정이 남았습니다.

 

바로 앞뒤 박공 부분의 삼각형으로 뚫린 곳을 막는 작업입니다. 앞면은 마감이 되었고 뒷면을 막는 작업을 진행 중인 모습이네요.

 

건물 뒷편의 지하실 계단 지붕도 각상 작업에 들어갑니다. 이곳은 건물 외벽 방향으로 지붕이 향하는 외쪽지붕 형태로 각상을 짜줍니다. 이곳 역시 화장실처럼 지붕 좌우 양쪽 면을 막아주어야 합니다.

 

가로상 부착이 완성되었고 양쪽 슬라브면도 자재로 마감되었습니다. 콘크리트 슬라브의 페인트가 오염되어 좀 지저분해 보이지만 향후에 새로 페인트를 칠하면 깔끔한 모습으로 변모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드디어 길고 긴 각상 작업이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지붕의 모습이 완전히 자리를 잡았네요. 밋밋해 보였던 용마루 선이 살아나면서 지붕의 모습이 훨씬 샤프하게 변신했습니다.

 

이제 기와를 인양할 차례가 되었습니다. 내용이 길어져 인양 및 시공 과정은 다음 포스팅으로 이어질 예정입니다.